박지성 퇴출, 손흥민 제외…AFC ‘올해의 선수상’ 20년간 한국만 소외
스포츠매니저
16
1
0
0
컨텐츠 정보
본문
아시아축구연맹(AFC) 시상식 후보 명단에서 손흥민의 이름이 빠지자 일본 언론도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AFC는 지난 25일 ‘2025 AFC 애뉴얼 어워즈’ 부문별 후보를 발표했다. 이 시상식은 매년 열리며, 지난해에는 국내 최초로 서울에서 개최됐다. 올해는 2034 월드컵 개최지인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10월 17일 열린다.
손흥민은 AFC ‘올해의 국제선수상’을 2015년, 2017년, 2019년, 2023년에 수상해 통산 4회 최다 수상자로 기록돼 있다. 또한 2013년과 2016년 최종 후보 3인에 올랐고, 2015년에는 기성용과 함께 경쟁하기도 했다. 한국 선수로는 김민재가 2022년 나폴리의 세리에A 우승에 기여하며 이 상을 받은 바 있다.
하지만 손흥민이 4차례나 수상한 상의 명칭부터 논란이 있다. 그가 받아온 상은 ‘올해의 국제선수상’으로, AFC의 대표 타이틀인 ‘올해의 선수상’과는 구분된다. 손흥민이 지난 10년간 토트넘에서 이룬 성과, 아시아 최고 선수라는 평가를 고려하면 ‘올해의 선수상’ 수상이 더 합당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손흥민은 2015-2016시즌을 제외하고 8시즌 연속 프리미어리그 두 자릿수 득점을 기록했다. 2024-2025시즌에는 리그 7골에 그쳤지만, 유로파리그에서 3골을 터뜨리며 우승에 기여했고 주장으로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아시아 선수로는 드문 쾌거였다. 그럼에도 이번 후보 명단에서 제외됐다.
반면 AFC ‘올해의 선수상’은 중동 선수들의 전유물처럼 굳어졌다. 2017년 오마르 크리빈(시리아), 2018년 압델카림 하산(카타르), 2019년 아크람 아피프(카타르), 2022년 살렘 알 도사리(사우디아라비아), 2023년 아피프 등이 수상했다. 한국 선수 중 이근호가 2012년에 한 차례 받았을 뿐, 이후 10년간 최종 후보에 이름을 올린 사례도 드물다.
이 같은 구조적 문제의 출발점에는 박지성이 있다. 2005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뛰던 그는 당연히 후보에 올랐지만, AFC는 “시상식 참석이 불가능하다면 최종 후보에서 제외하겠다”는 조건을 붙였다. 당시 시상식은 맨유의 리그컵 일정과 겹쳤고, 퍼거슨 감독은 선수를 내보낼 수 없다고 했다. 결국 박지성은 탈락했고, 상은 알리 카리미(이란)에게 돌아갔다.
이후에도 같은 이유로 박지성은 후보에서 배제됐고, AFC는 2012년부터 ‘올해의 국제선수상’을 따로 신설해 가가와 신지를 초대 수상자로 선정했다. 그러나 정작 ‘올해의 선수상’은 중동 중심으로 흐르며 권위를 잃었다는 평가다.
올해 역시 말레이시아에서 뛰는 아리프 아이만이 최종 후보 3인에 포함되는 등 석연치 않은 명단이 발표됐다. 박지성을 배제했던 규정과 손흥민을 제외한 이번 사례는, AFC의 비합리적인 행정이 20년째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AFC는 지난 25일 ‘2025 AFC 애뉴얼 어워즈’ 부문별 후보를 발표했다. 이 시상식은 매년 열리며, 지난해에는 국내 최초로 서울에서 개최됐다. 올해는 2034 월드컵 개최지인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10월 17일 열린다.
손흥민은 AFC ‘올해의 국제선수상’을 2015년, 2017년, 2019년, 2023년에 수상해 통산 4회 최다 수상자로 기록돼 있다. 또한 2013년과 2016년 최종 후보 3인에 올랐고, 2015년에는 기성용과 함께 경쟁하기도 했다. 한국 선수로는 김민재가 2022년 나폴리의 세리에A 우승에 기여하며 이 상을 받은 바 있다.
하지만 손흥민이 4차례나 수상한 상의 명칭부터 논란이 있다. 그가 받아온 상은 ‘올해의 국제선수상’으로, AFC의 대표 타이틀인 ‘올해의 선수상’과는 구분된다. 손흥민이 지난 10년간 토트넘에서 이룬 성과, 아시아 최고 선수라는 평가를 고려하면 ‘올해의 선수상’ 수상이 더 합당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손흥민은 2015-2016시즌을 제외하고 8시즌 연속 프리미어리그 두 자릿수 득점을 기록했다. 2024-2025시즌에는 리그 7골에 그쳤지만, 유로파리그에서 3골을 터뜨리며 우승에 기여했고 주장으로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아시아 선수로는 드문 쾌거였다. 그럼에도 이번 후보 명단에서 제외됐다.
반면 AFC ‘올해의 선수상’은 중동 선수들의 전유물처럼 굳어졌다. 2017년 오마르 크리빈(시리아), 2018년 압델카림 하산(카타르), 2019년 아크람 아피프(카타르), 2022년 살렘 알 도사리(사우디아라비아), 2023년 아피프 등이 수상했다. 한국 선수 중 이근호가 2012년에 한 차례 받았을 뿐, 이후 10년간 최종 후보에 이름을 올린 사례도 드물다.
이 같은 구조적 문제의 출발점에는 박지성이 있다. 2005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뛰던 그는 당연히 후보에 올랐지만, AFC는 “시상식 참석이 불가능하다면 최종 후보에서 제외하겠다”는 조건을 붙였다. 당시 시상식은 맨유의 리그컵 일정과 겹쳤고, 퍼거슨 감독은 선수를 내보낼 수 없다고 했다. 결국 박지성은 탈락했고, 상은 알리 카리미(이란)에게 돌아갔다.
이후에도 같은 이유로 박지성은 후보에서 배제됐고, AFC는 2012년부터 ‘올해의 국제선수상’을 따로 신설해 가가와 신지를 초대 수상자로 선정했다. 그러나 정작 ‘올해의 선수상’은 중동 중심으로 흐르며 권위를 잃었다는 평가다.
올해 역시 말레이시아에서 뛰는 아리프 아이만이 최종 후보 3인에 포함되는 등 석연치 않은 명단이 발표됐다. 박지성을 배제했던 규정과 손흥민을 제외한 이번 사례는, AFC의 비합리적인 행정이 20년째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1
삼폴전문가님의 댓글
- 삼폴전문가
- 작성일
허 손흥민도 한번도 못받은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