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거즈 44년 최악의 흑역사…챔프 KIA, 가을야구 왜 무너졌나
스포츠매니저
22
0
0
컨텐츠 정보
본문
KIA 타이거즈가 5강 싸움에서 결국 탈락했다. 5위를 달리던 KT 위즈가 25일 인천에서 열린 SSG 랜더스전에서 10-1로 크게 승리하며 격차가 벌어졌다. 경기가 없던 KIA는 KT와 승차가 6경기로 벌어졌고, 남은 경기 수를 감안하면 승률상 역전이 불가능해졌다. 지난해 영광의 챔피언이 불과 1년 만에 5강 문턱조차 밟지 못하는 굴욕을 당한 것이다.
타이거즈가 우승 후 곧바로 가을야구에 실패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983년 창단 첫 우승을 하고 다음 해 5위로 떨어졌고, 1996~97년 2연패 뒤 1998년엔 4강 진출에 실패했다. 당시에는 모그룹 부도로 운영난이 심했고, 결국 간판타자 이종범을 일본 주니치로 보내면서 전력이 크게 약화됐다. 또 2009년 10번째 우승 후에도 5위에 그쳤다. 2017년 11번째 우승 이후에는 어렵게나마 5강에 진출해 체면을 살렸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시즌 초 절대 1강 평가를 받았음에도 8위까지 추락하며 44년 구단 역사상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다.
원인은 분명하다. 구단, 코치진, 선수 모두 우승의 여운에 취해 준비가 부족했다. ‘2연패’를 외쳤지만 전력 보강은 없었고, 장현식이 FA로 빠져나간 자리를 제대로 메우지 못했다. 대안으로 데려온 조상우는 후반기에 힘을 잃었다. 우승 주역이던 소크라테스를 내보내고 메이저리거 출신 패트릭 위즈덤을 영입했지만, 33홈런에도 불구하고 삼진 3위라는 불명예를 안으며 타선에 불안 요소를 더했다.
타선 전체도 기대 이하였다. 작년 3할 타선을 자랑했던 라인업은 2할 초반대 빈타로 추락했다. 최형우를 제외하면 훈련 부족이 드러났고, 그 부담은 고스란히 투수진으로 이어졌다. MVP 김도영은 햄스트링 부상으로 세 차례 이탈했고, 김선빈·나성범까지 장기 결장했다. 세 선수 모두 핵심 자원이었기에 타격은 더 컸다. 양현종처럼 철저히 몸 관리를 한 베테랑의 사례와 대비된다.
이범호 감독은 작년 막내 사령탑으로 우승을 일궈냈지만, 올해는 선수단을 끝까지 자극하지 못했다. 시즌 중반 한때 백업과 신예들을 기용하며 2위까지 올랐으나, 후반기 연패에 빠지면서 8위로 곤두박질쳤다. 위기 관리에 실패한 셈이다.
물론 책임을 특정인에게만 돌릴 수는 없다. 구단 운영, 코치진 지도, 선수단 기량 관리 어느 한쪽이라도 제대로 버텼다면 이번 ‘역대급 추락’은 피할 수 있었다. 지난해는 세 부문이 완벽히 조화를 이루며 우승했지만, 올해는 모두 삐걱거렸다. 팬들의 기대와 사랑은 실망과 분노로 바뀌었고, 이제 KIA가 내년 시즌 어떤 방식으로 명예회복에 나설지가 최대 과제가 됐다.
타이거즈가 우승 후 곧바로 가을야구에 실패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983년 창단 첫 우승을 하고 다음 해 5위로 떨어졌고, 1996~97년 2연패 뒤 1998년엔 4강 진출에 실패했다. 당시에는 모그룹 부도로 운영난이 심했고, 결국 간판타자 이종범을 일본 주니치로 보내면서 전력이 크게 약화됐다. 또 2009년 10번째 우승 후에도 5위에 그쳤다. 2017년 11번째 우승 이후에는 어렵게나마 5강에 진출해 체면을 살렸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시즌 초 절대 1강 평가를 받았음에도 8위까지 추락하며 44년 구단 역사상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다.
원인은 분명하다. 구단, 코치진, 선수 모두 우승의 여운에 취해 준비가 부족했다. ‘2연패’를 외쳤지만 전력 보강은 없었고, 장현식이 FA로 빠져나간 자리를 제대로 메우지 못했다. 대안으로 데려온 조상우는 후반기에 힘을 잃었다. 우승 주역이던 소크라테스를 내보내고 메이저리거 출신 패트릭 위즈덤을 영입했지만, 33홈런에도 불구하고 삼진 3위라는 불명예를 안으며 타선에 불안 요소를 더했다.
타선 전체도 기대 이하였다. 작년 3할 타선을 자랑했던 라인업은 2할 초반대 빈타로 추락했다. 최형우를 제외하면 훈련 부족이 드러났고, 그 부담은 고스란히 투수진으로 이어졌다. MVP 김도영은 햄스트링 부상으로 세 차례 이탈했고, 김선빈·나성범까지 장기 결장했다. 세 선수 모두 핵심 자원이었기에 타격은 더 컸다. 양현종처럼 철저히 몸 관리를 한 베테랑의 사례와 대비된다.
이범호 감독은 작년 막내 사령탑으로 우승을 일궈냈지만, 올해는 선수단을 끝까지 자극하지 못했다. 시즌 중반 한때 백업과 신예들을 기용하며 2위까지 올랐으나, 후반기 연패에 빠지면서 8위로 곤두박질쳤다. 위기 관리에 실패한 셈이다.
물론 책임을 특정인에게만 돌릴 수는 없다. 구단 운영, 코치진 지도, 선수단 기량 관리 어느 한쪽이라도 제대로 버텼다면 이번 ‘역대급 추락’은 피할 수 있었다. 지난해는 세 부문이 완벽히 조화를 이루며 우승했지만, 올해는 모두 삐걱거렸다. 팬들의 기대와 사랑은 실망과 분노로 바뀌었고, 이제 KIA가 내년 시즌 어떤 방식으로 명예회복에 나설지가 최대 과제가 됐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