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FA, 2030 월드컵 본선 진출국 확대 논의…중국도 기회 잡나
작성자 정보
- 스포츠매니저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국제축구연맹(FIFA)이 2030년 월드컵을 사상 처음으로 64개국 참가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공식적으로 논의한다.
월드컵은 이미 변화의 기로에 서 있다. 1998년 프랑스 대회에서 32개국 체제로 확대한 뒤, 2026년 북중미 월드컵부터는 48개국이 본선 무대에 오른다. FIFA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2030년 대회를 ‘사상 최대 규모’로 치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중국 매체 소후닷컴은 24일(한국시간) “지난 4월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남미축구연맹 회장이 FIFA에 64개국 확대안을 제출했고, 이번 주 FIFA가 이를 정식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중국 대표팀 입장에서는 본선 진출 가능성이 커질 수 있는 희소식”이라고 전했다.
현재 아시아는 2026년 대회에서 8.5장의 본선 티켓을 확보했다. 만약 64개국 체제가 현실화된다면, 아시아 배정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세계랭킹 94위, 아시아 랭킹 14위인 중국이 실제 본선 무대에 설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글로벌 스포츠 매체 ESPN 역시 이 사안을 집중 조명했다. FIFA 잔니 인판티노 회장은 최근 미국 뉴욕에서 도밍게스 회장 및 남미 정상들과 만나 64개국 확대안을 직접 논의했다. 이는 제1회 월드컵 개최지였던 우루과이에서 열리는 ‘100주년 대회’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다만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본선 참가국이 늘면 월드컵 경기는 64경기에서 128경기로 배 이상 확대돼 선수 혹사, 운영 난항, 경기 수준 저하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UEFA 알렉산더 체페린 회장 역시 “본선 질적 하락은 피할 수 없다”며 강하게 반대했다.
그럼에도 FIFA는 월드컵의 ‘세계 축제’라는 가치를 앞세우며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다. 참가국 확대는 전 세계 축구 문화를 포용하는 동시에, 중계권·스폰서십·티켓 판매 등 수익 증대 효과도 크다.
결국 2030년 월드컵은 개최 방식부터 참가국 규모까지 사상 가장 독특한 대회로 기록될 가능성이 크다. 중국을 비롯한 중위권 국가들에겐 본선 진출의 문이 열릴 수 있는 기회지만, 동시에 월드컵 브랜드 가치와 경기 질 저하라는 우려도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될 전망이다.
월드컵은 이미 변화의 기로에 서 있다. 1998년 프랑스 대회에서 32개국 체제로 확대한 뒤, 2026년 북중미 월드컵부터는 48개국이 본선 무대에 오른다. FIFA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2030년 대회를 ‘사상 최대 규모’로 치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중국 매체 소후닷컴은 24일(한국시간) “지난 4월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남미축구연맹 회장이 FIFA에 64개국 확대안을 제출했고, 이번 주 FIFA가 이를 정식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중국 대표팀 입장에서는 본선 진출 가능성이 커질 수 있는 희소식”이라고 전했다.
현재 아시아는 2026년 대회에서 8.5장의 본선 티켓을 확보했다. 만약 64개국 체제가 현실화된다면, 아시아 배정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세계랭킹 94위, 아시아 랭킹 14위인 중국이 실제 본선 무대에 설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글로벌 스포츠 매체 ESPN 역시 이 사안을 집중 조명했다. FIFA 잔니 인판티노 회장은 최근 미국 뉴욕에서 도밍게스 회장 및 남미 정상들과 만나 64개국 확대안을 직접 논의했다. 이는 제1회 월드컵 개최지였던 우루과이에서 열리는 ‘100주년 대회’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다만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본선 참가국이 늘면 월드컵 경기는 64경기에서 128경기로 배 이상 확대돼 선수 혹사, 운영 난항, 경기 수준 저하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UEFA 알렉산더 체페린 회장 역시 “본선 질적 하락은 피할 수 없다”며 강하게 반대했다.
그럼에도 FIFA는 월드컵의 ‘세계 축제’라는 가치를 앞세우며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다. 참가국 확대는 전 세계 축구 문화를 포용하는 동시에, 중계권·스폰서십·티켓 판매 등 수익 증대 효과도 크다.
결국 2030년 월드컵은 개최 방식부터 참가국 규모까지 사상 가장 독특한 대회로 기록될 가능성이 크다. 중국을 비롯한 중위권 국가들에겐 본선 진출의 문이 열릴 수 있는 기회지만, 동시에 월드컵 브랜드 가치와 경기 질 저하라는 우려도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될 전망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