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트넘, 레비 해임 과정 논란…출입 금지·물품 차량 반송
스포츠매니저
7
0
0
컨텐츠 정보
본문
토트넘 홋스퍼 FC의 전 회장 다니엘 레비는 해임 당일 아침까지도 자신이 자리에서 물러나게 될 것을 전혀 알지 못했다.
미국 매체 **‘디애슬레틱’**은 27일(한국시간) “레비는 오랫동안 구단을 전적으로 장악하며 운영했고, 그의 말은 곧 최종 결정이었다. 그러나 지난달 해임 당시 그는 훈련장에 들어가 개인 물품을 챙길 권한조차 주어지지 않았다. 아내 트레이시 역시 같은 날까지 구단에서 근무했지만 출입조차 허용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어 “부부의 물건은 결국 밴(차량)을 통해 반송됐다. 기업 세계에서는 이러한 단절이 드물지 않지만, 프리미어리그 무대에서는 여전히 낯선 장면이다. 리그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의 지위가 순식간에 무너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레비는 21세기 토트넘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인물이었다. 2001년부터 집행의장으로 구단 운영을 총괄하며 새 훈련장 건설(2012년)과 신구장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2019년) 완공을 주도했다.
또한 가레스 베일을 레알 마드리드 CF에 8,600만 파운드(약 1,625억 원·2013년)에 매각하며 탁월한 협상력을 보여줬고, 손흥민과 크리스티안 에릭센 등 젊고 유망한 선수들을 저렴하게 영입해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의 리더십 아래 토트넘은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갖추며 프리미어리그 ‘빅 6’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보수적인 투자 기조로 인해 팬들의 불만은 지속됐고, 지난 시즌 부진이 이어지자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까지 벌어졌다. 하지만 토트넘이 2024/25 UEFA 유로파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한동안 비판 여론은 잦아들었다.
그런 가운데 구단은 지난달 5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레비의 퇴진을 발표했다. 겉으로는 자진 사임처럼 포장됐지만 실제로는 해임이었다. 디애슬레틱은 “레비는 당일 아침까지도 전혀 몰랐고, 평소처럼 A매치 휴식기를 보내고 있었다”고 전했다.
사실 전조는 있었다. 구단을 소유한 루이스 가문은 올해 초부터 운영 상황을 면밀히 점검했고, 3월에는 금융 전문가 피터 채링턴을 이사회에 영입했다. 이어 미국 컨설팅 업체 ‘깁 리버’를 불러 내부 진단에 착수했으며, 이 과정에서 레비의 최측근 도나 컬런이 구단을 떠났다. 동시에 비나이 벤카테샴이 CEO로 선임되면서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CEO 직책이 생겼다.
결국 레비는 점점 의사결정권에서 밀려나며, 하루아침에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다. 매체는 “이제 레비는 더 이상 권한이 없다. 자신이 세운 구장에서조차 그저 한 명의 관중일 뿐이다. 25년 가까이 ‘토트넘의 모든 것’이었던 인물이 완전히 배제됐다. 레비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구단은 새로운 체제로 접어들고 있다”고 짚었다.
미국 매체 **‘디애슬레틱’**은 27일(한국시간) “레비는 오랫동안 구단을 전적으로 장악하며 운영했고, 그의 말은 곧 최종 결정이었다. 그러나 지난달 해임 당시 그는 훈련장에 들어가 개인 물품을 챙길 권한조차 주어지지 않았다. 아내 트레이시 역시 같은 날까지 구단에서 근무했지만 출입조차 허용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어 “부부의 물건은 결국 밴(차량)을 통해 반송됐다. 기업 세계에서는 이러한 단절이 드물지 않지만, 프리미어리그 무대에서는 여전히 낯선 장면이다. 리그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의 지위가 순식간에 무너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레비는 21세기 토트넘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인물이었다. 2001년부터 집행의장으로 구단 운영을 총괄하며 새 훈련장 건설(2012년)과 신구장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2019년) 완공을 주도했다.
또한 가레스 베일을 레알 마드리드 CF에 8,600만 파운드(약 1,625억 원·2013년)에 매각하며 탁월한 협상력을 보여줬고, 손흥민과 크리스티안 에릭센 등 젊고 유망한 선수들을 저렴하게 영입해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의 리더십 아래 토트넘은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갖추며 프리미어리그 ‘빅 6’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보수적인 투자 기조로 인해 팬들의 불만은 지속됐고, 지난 시즌 부진이 이어지자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까지 벌어졌다. 하지만 토트넘이 2024/25 UEFA 유로파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한동안 비판 여론은 잦아들었다.
그런 가운데 구단은 지난달 5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레비의 퇴진을 발표했다. 겉으로는 자진 사임처럼 포장됐지만 실제로는 해임이었다. 디애슬레틱은 “레비는 당일 아침까지도 전혀 몰랐고, 평소처럼 A매치 휴식기를 보내고 있었다”고 전했다.
사실 전조는 있었다. 구단을 소유한 루이스 가문은 올해 초부터 운영 상황을 면밀히 점검했고, 3월에는 금융 전문가 피터 채링턴을 이사회에 영입했다. 이어 미국 컨설팅 업체 ‘깁 리버’를 불러 내부 진단에 착수했으며, 이 과정에서 레비의 최측근 도나 컬런이 구단을 떠났다. 동시에 비나이 벤카테샴이 CEO로 선임되면서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CEO 직책이 생겼다.
결국 레비는 점점 의사결정권에서 밀려나며, 하루아침에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다. 매체는 “이제 레비는 더 이상 권한이 없다. 자신이 세운 구장에서조차 그저 한 명의 관중일 뿐이다. 25년 가까이 ‘토트넘의 모든 것’이었던 인물이 완전히 배제됐다. 레비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구단은 새로운 체제로 접어들고 있다”고 짚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